Showing posts with label computing.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computing. Show all posts

2009-02-09

Perl 정규식
출처 Newbie 님의 블러그 (http://medialab.egloos.com)

생물 관련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유닉스 기반으로 제작되어 있고, 유닉스 자체가 원래 텍스트 파일을 기본적인 데이터 교환 수단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오히려 데이터 교환의 측면에서 보면 텍스트 파일?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 파일에 비해 유리한 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포맷이 공개되지 않은 텍스트 파일을 읽어들이기 위한 파서를 제작하는 것이 미지의 바이너리 파일을 읽어들이는 것 보다는 훨씬 쉬우니까 말이다. 결국 XML 파일도 본질적으로는 텍스트 파일 아닌가.

이 러한 텍스트 파싱 작업을 위해서는 정규식 (Regular Expression) 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결국 Perl 에서 정규식을 빼면 앙꼬 없는 찐빵이 되고 만다. 물론 Python, Java, .NET 등에서도 정규식을 지원하긴 하지만 근본적으로 이들이 지원하는 정규식의 모체는 Perl 이며, 외부 모듈 형태로 정규식을 지원하는 이런 언어에 비해서 Perl 에서는 언어의 구성 요소로 정규식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

참고로 정규 표현식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하는 바이다.

http://kangcom.com/common/bookinfo/bookinfo.asp?sku=200303040023

정 규 표현식에 입문하면서 보기에는 조금 어려울지도 모르겠지만, 어느 정도의 간단한 정규식 정도는 작성가능하다면 이 책은 매우 큰 보탬이 된다. Perl 과 자바, 닷넷 등의 잡다한 언어에서의 정규식 사용법및 고급 활용법까지 두루 다루고 있는 바야흐로 정규식의 바이블이라고 할 수 있을만한 책이다.

파이썬의 경우에는 이 링크를 참조하기 바란다.

1. 정규식이란?

그렇다면 정규식이란 무엇인가? wikipedia 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A regular expression is a string that describes or matches a set of strings, according to certain syntax rules.

즉, 정규식이란 특정한 문법 규직에 따라서 문자열을 기술하거나 매치시킬 수 있는 문자열을 의미한다.
정의는 그렇다고 치고, 실제 활용예로써 설명하도록 하자.

특정한 DNA Sequence 상에서 BamHI site 의 갯수를 알고 싶다면?

#!/usr/bin/perl -w
# modified from perl scripts in http://stein.cshl.org/genome_informatics/regex/regex1.html
#

use strict;

# 파일을 읽어들이고, 파일이 없으면 사용법을 출력하고 종료
my $filename = shift or die "usage BamHI.perl ";

# $filename 으로 입력받은 파일을 FASTA 라는 이름의 파일 핸들로 연다
open (FASTA , "<$filename") or print "$filename does not exist "; # $sites 에는 찾은 Enzyme site 갯수를 저장한다 my $sites=0; # FASTA 핸들을 이용하여 전체 파일을 한줄씩 읽어서 $line에 저장한다. while (my $line = ) {

# 라인 종료 문자를 지운다
chomp ($line);

# $line에 GGATCC 라는 문자열이 있으면 $site 변수를 1 증가시킨다
if ($line =~ m/GGATCC/){

$sites++;
}
}

# $sites 값이 1 이상이면 (BamHI Site 가 발견되면 메시지 출력
if ($sites){
print "$sites BamHI sites total ";
}
else {
print "there is no BamHI site! ";
}


if ($line =~ m/GGATCC/){


$sites++;
}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하다. $line =~ m/정규식/ 이라는 문법은 만약 $line 내에 GGATCC 라는 문자열이 있으면 true 가 된다.

그렇다면 만약 HincII 와 같은 Restriction Enzyme, 즉 GTYRAC 와 같이 Y (C or T), R (A or G) 를 찾고 싶다면?

if ($line =~ m/GT[CT][AG]AC/){


$sites++;
}

이렇게 쓴다. 즉 [CT] 는 C or T, [AG] 는 A or G 의 의미이다.

즉, 정규식은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문자열을 찾기 위해서 이것을 패턴화하는 하나의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 Perl 정규식의 간략한 문법

- 정규식은 두개의 슬래쉬 () 안에 쓴다.

- 패턴에 사용될 수 있는 문자

* 일반적인 문자 (a-z,A-Z, 0-9 및 일부의 문장기호)
* "." 문자는 모든 문자와 매칭된다
* 대괄호를 쓰면 대괄호 안에 있는 글자에 속한 경우만을 매칭된다.

예 : 염기서열 [AaGgCcTNn]
알파벳, 숫자 [A-Z0-9]
A-B 를 제외한 글자 [^A-B] A-Z를 제외한 글자

* 많이 사용되는 조합은 다음과 같이 별도의 메타캐릭터로 지정된다. 메타캐릭터를 사용할 때는 역슬래쉬 (한글 키보드에서는 로 표시되지만) 를 이용한다.

d : 숫자 [0-9]

예 : 123-3456 혹은 345-2345 와 같은 것을 매칭하려고 할ㅤㄸㅒㅤ
ddd-dddd

w : 알파벳과 숫자[A-Za-z_0-9]

W : 알파벳과 숫자 이외의 기호

s : 공백문자 매칭

S : 공백문자가 아닌 글자


- 앵커 문자는 패턴의 위치를 한정지을 때 사용된다.

^ : 라인의 처음부터 매칭

$ : 라인의 끝을 표시


- 수량자는 지정된 패턴의 반복을 기술한다.

? : 정확히 한번만 매칭
* : 0번 이상 매칭
+ : 1번 이상 매칭되는 경우

예 S+공백 문자가 아닌 1개 이상의 문자를 매칭

{3} : 3번 매칭되는 경우

예 : 위에서 123-3456 과 같은 전화번호를 ddd-dddd 로 매칭한다고 하였지만 이것은 d{3}-d{4} 로 축약하여 쓸 수 있다.

{2,4} : 2번에서 4번 매칭되는 경우

예 : 전화번호 국번이 3자리 혹은 4자리일때는 d{3,4}-d{4] 와 같이 기술한다. 그렇게 하면 123-1234 번과 1234-1234 번과 같은 경우d{3,4}-d{4} 와 같이 쓰면 된다.
{4,} : 최소한 4번 매칭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그렇다면 '^' 내지는 '|' 와 같은 문자를 검색에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간단하게는 백슬래쉬 () 를 붙이고 쓰면 된다.

일단 간단한 문법은 여기까지 알아보도록 한다.


3. 패턴 추출

사실 정규식을 실제로 쓰는 주 용도 앞에서 말했듯이 텍스트 문자에서 원하는 내용만 추출해 내는 것, 그리고 패턴을 이용하여 치환을 하는 것이다.



>gi|84489096|ref|YP_447328.1| GatB [Methanosphaera stadtmanae DSM 3091]
MMCGLEIHVQLNTNSKLFCSCPTNYQSAPNNTNICPVCLNQPGAKPYPPNQAALDNAIKVALMLGCEISN
EVIYFMRKHYDYPDLSSGYQRTSVPVGIKGELNGVRIHEIHVEEDPGQYKPDRGTVDFNRSGIPLIEIVT
EPDMKSPEEARNFLNELIRVLNYSGSARGEGTMRADVNISIEGGKRAEVKNVNSIRGAYKVLKFELIRQK
NILRRGGEVQQETRAYLESQMITVPMRLKEDADDYRYIPDPDLPPLKIDPAHVEEIRQNMPEPAHLKTER
FVEEYGIDKKDAKVLTSELELADAFEEVCKEVDANVAARLMRDELKRVLHYNKIQYAESKITPSDIVELI
NLIESKQVTPEAAHKLIEQMPGNDKTPTEIGNEMDIIGVVEDDAIVNAINQAIEENPNAVEDYKNGKDNA
VNFLVGQVMRLTRGKANAGETNKMIKEKLDQL

가령 이런 fasta sequence 의 header 부분에서,

>gi|84489096|ref|YP_447328.1| GatB [Methanosphaera stadtmanae DSM 3091]

위의 문장중 색으로 표시된 2 부분만 가지만 간단히 추출하고 싶다면?

$line = ">gi|84489096|ref|YP_447328.1| GatB [Methanosphaera stadtmanae DSM 3091]";

$line 이라는 스칼라 변수에 위의 문자열이 담겨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고,

/I(S+)[(.*)]$/

라는 정규식을 쓴다.

'|' 문자는 정규식 내에서 다른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백슬래쉬 () 와 함께 사용해야만 본래의 "|' 자체를 매칭가능하다. (대괄호 문자 '[' ']' 도 마찬가지로 [, ] 로 사용한다)

[(.*)]$

= [ 와 ] 사이에 있는 아무 문자 (.*) 를 추출한다. 추출되는 영역은 (, ) 로 지정한다.

그 앞에 있는 | (S+)는 "| GatB" 부분에서 I 및 공백문자 다음에 나오는 문자를 캡춰한다는 의미이다.

if ($line =~ m/I(S+)[(.*)]$/) {

$gene = $1;

$organism = $2;

}

$1 과 $2 변수의 경우 첫번째 그룹 (S+) 및 두번ㅤㅉㅒㅤ 그룹 (.*) 이 담겨져 있는 변수이므로 이 변수를 억세스하여 괄호 안의 패턴을 추출해 낼 수 있다.

if ($line =~ m/(.{50})TATTAT(.{25})/) {

$upstream = $1;

$downstream = $2;

}

위의 예는 'TATTAT' 서열의 상위 50글자를 캡춰하여 $upstream 에, 하위 25 글자를 캡춰하여 $downstream 에 넣는 예이다.

예는 많이 들면 들수록 좋으니 몇 가지 더.

Library_Plate-Well좌표-F.ab1 과 같은 파일명에서 Library 이름과 Plate 이름, Well 좌표를 추출해 내는 방법

가 령 Library 이름이 SEQUENCE이고, 이것의 96 Plate 가 01부터 99 까지 존재, 그리고 Well 좌표는 A01 부터 H12라고 하고 (96 Plate), Primer는 F 또는 R이다. 이런 경우를 정규식 하나로 각각을 추출해 내려면,

$filename = "SEQUENCING_01-A01-F.ab1";

if ($filename =~ m/(w+)_(d{1,3})-([A-H][0-1][0-9])-([FR]).ab1/) {

$library = $1;

$plate = $2;

$wellposition = $3;

$primer = $4;

}

print $library," ", $plate," ",$wellposition," ", $primer, " ";

위의 결과에서는 당연히 sequencing, 01, A01, F 로 각각의 정보가 추출되어 나올 것이다.

각각의 색은 캡춰되는 Region에 따라서 별도로 지정하였다.

4. 치환

정규식의 부분 캡춰 기능 이외에 유용한 활용법은 문자열의 치환이다. 즉, 정규식으로 검색한 패턴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치환을 수행할 수 있다.

치환의 문법은

$variable =~ s/정규식/치환할 문자열/

디폴트 상태로는 검색된 패턴 중 제일 먼저 나오는 패턴에 대해서만 치환이 일어나지만, 만약 문자열 전체에서 나오는 모든 패턴에 대해서 치환을 수행하고 싶다면,

$variable =~ s/정규식/치환할 문자열/g

'g' 스위치를 이용하면 된다.

예 :

$base = "ACGTGCGTGATTTTTTTAGG";

$base =~ s/TTTTTTT/AAAAAAA/;

'TTTTTTT' 를 검색하여 AAAAAA로 치환한다.

$base = "ACGTGCGTGATTTTTTTAGG";

$base =~ s/GT/CA/g;

GT를 검색하여 CA로 치환한다. 위의 서열에는 GT 가 여러번 등장하는데, g 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든 'GT' 라는 패턴을 CA로 치환할 수 있다.

# g switch 를 지정하지 않았을 때. 맨 처음에 나오는 GT Pattern 1개에 대해서만 CA 치환이 이루어진다.
$base = "ACCAGCGTGATTTTTTTAGG";

# g switch 를 지정하지 않았을 때. 맨 처음에 나오는 GT Pattern 1개에 대해서만 CA 치환이 이루어진다.
$base = "ACCAGCCAGATTTTTTTAGG";


치환 기능을 응용하여 문자열 중의 특정부분만을 삭제하는 것을 매우 쉽게 구현 가능하다.

$base = "ACCCCC*CGTGATT*TTTTTAGG";

이 와 같이 '*' 로 gap 이 표시되어 있는 sequence 에서 * 만을 삭제하고자 한다면? 만약 치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 위치를 찾고, * 를 제외한 부분 문자열을 구하고, 이것을 이어 붙이는 귀찮은 일을 해야 하겠지만, 치환 기능을 이용하면,

$base =~ s/*//g;

이 한줄로 해결된다. 즉, '문자열 중의 * 를 모두 찾아서 공백으로 치환한다 (=삭제한다)' 라는 의미이다. (* 문자는 Perl 내에서 별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 글자 자체를 검색하려면 백슬래시 를 앞에 붙여주고, 모든 * 를 검색하여 치환을 해 주어야 하므로 g 스위치를 켜게 된다)

이전에 든 예제에서 SEQUENCING_01-A01 부분만 얻고 싶다면? 물론 앞에서 설명한 캡춰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해도 된다.

$filename = "SEQUENCING_01-A01-F.ab1";

$filename =~ s/-[FR].ab1$//;


2009-01-12

JDBC 설정

MySQL과 JSP의 연동을 위해서 mysql jdbc를 설정해 보자. 현재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MySQL은 쉽고 강력한 성능으로 많은 유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설치에 앞서 먼저 mysql jdbc드라이버를 다운 받는다. 현재 안정버전은 3.0 버전이다. 아래의 다운로드에서 드라이버를 받는다.

MySQL JDBC Download

다운로드 받았으면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 하도록 환경 설정을 해줘야 된다. 환경설정이라고 어렵게 생각할것 없다. 경로만 인식시켜 주면 된다.

[root@localhost]#

[root@localhost]# tar xvfz mysql-connector-java-3.0.8-stable.tar.gz
[root@localhost]# cp mysql-connector-java-3.0.8-stable /usr/local/mysql-jdbc
[root@localhost]# cd /usr/local/mysql-jdbc
[root@localhost]# ls -al

폴더 안에 mysql-connector-java-3.0.8-stable-bin.jar이라는 화일이 보일 것이다. 실제로 사용될 드라이버 화일이다. 이제 mysql jdbc드라이버를 사용하기 위해서 profile에 환경 설정을 해주자.

[root@localhost]#

[root@localhost]# vi /etc/proflie
# MySQLjdbc Config
export CLASSPATH="$CLASSPATH:/usr/local/mysql-jdbc/mysql-connector-java-3.0.8-stable
-bin.jar"(한줄로 정확히 입력해야 된다)

CLASSPATH를 설정해줄때 $CLASSPATH부분을 꼭 써줘야 된다. 안그러면 기존에 설정 되어 있는 CLASSPATH는 설정이 안된다. 이제 변경시킨 profile를 적용을 시키고 테스트를 해보자.

[root@localhost]#

[root@localhost]# source /etc/profile
[root@localhost]# set | grep CLASSPATH
CLASSPATH=.:/usr/local/tomcat/common/lib/servlet.jar:/oracle/product/8.1.7/jdbc/lib/
classes111.jar:/usr/local/mysql-jdbc/mysql-connector-java.jar

위의 설정은 필자의 CLASSPATH설정이다. 기존에 추가 되어있는 부분 마지막에 mysql jdbc드라이버가 설정이 되어있다.

+MySQL JDBC 테스트 #1

이제 MySQL JDBC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정이 되었는지 접속 테스트를 해보자. 먼저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드라이버가 로딩이 되는지 알 수 있다.

[root@localhost]#

[root@localhost]# javap org.gjt.mm.mysql.Driver
public class org.gjt.mm.mysql.Driver extends com.mysql.jdbc.Driver {
public org.gjt.mm.mysql.Driver() throws java.sql.SQLException;
}

위와 같이 나왔다면 이상이 없는것이다. 만약 설정이 잘못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에러메시지가 나올 것이다.

[root@localhost]#

[root@localhost]# javap org.gjt.mm.mysql.Driver
Class 'org.gjt.mm.mysql.Driver' not found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 CLASSPATH설정을 확인해 보기 바란다.

이제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자 jdbc드라이버를 이용한 javamysql의 연동이다.

[root@localhost]#

[root@localhost]# vi jdbc.java
import java.sql.*;
class jdb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v[]) {
try {
Class.forName("org.gjt.mm.mysql.Driver");
System.out.println("jdbc 드라이버 로딩 성공");
} catch (ClassNotFound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getMessage());
}
try {
String url = "jdbc:mysql://localhost:3306/mysql";
Connection c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root","");
System.out.println("mysql 접속 성공");
Statement stmt = co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user from user where user=
'root'");
System.out.println("Got result:");
while(rs.next()) {
String no= rs.getString(1);
String tblname = rs.getString(1);
System.out.println(" no = " + no);
System.out.println(" tblname= "+ tblname);
}
stmt.close();
con.close();
} catch(java.lang.Exception ex) {
ex.printStackTrace();
}
}
}

위의 소스는 mysql jdbc드라이버를 테스트 해볼수 있는 소스이다. 입력후 컴파일 하자.

[root@localhost]#

[root@localhost]# javac jdbc.java
[root@localhost]# java jdbc
드라이버 로딩 성공
접속 성공
Got result:
no = root
tblname= root
no = root
tblname= root

위와 같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연동이 되는것이다.

+MySQL JDBC 테스트 #2

이제 jsp와 연동을 테스트 해보자. 아래와 같이 테스트용 jsp화일을 생성한다.

[root@localhost]#

[root@localhost]# vi mysql.jsp
<%@ page import="java.sql.*"
contentType="text/html;charset=euc-kr"%>
<%
String DB_URL = "jdbc:mysql://localhost:3306/mysql";
String DB_USER = "root";
String DB_PASSWORD= "";
Connection conn;
Statement stmt;
try {
Class.forName("org.gjt.mm.mysql.Driver");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DB_URL, DB_USER,
DB_PASSWORD);
stmt = conn.createStatement();
conn.close();
out.println("MySQL 연결 성공");
} catch(Exception e)
{out.println(e);}
%>

위와 같이 입력을 하고 웹에서 확인해 보자. 확인을 위해서는 물론 tomcatresin같은 프로그램이 Apache와 연동이 되어있어야 한다.

웹상에서 확인을 해보면 "Mysql 연결 성공"이라는 글자가 보일 것이다.

+MySQL JDBC 트러블 슈팅

정상적으로 연결에 성공하면 좋지만 tomcat 4버전부터 연동하는데 조금 어려움이 있다. 정상적으로 CLASSPATH도 잡혀있고 java와의 연동도 되지만 jsp와의 연동이 잘 안될때가 많았다. 이럴때는 다음과 같이 링크를 걸어주기 바란다.

[root@localhost]#

[root@localhost]# cd /usr/local/tomcat/common/lib
[root@localhost]# ln -s /usr/local/mysql-jdbc/mysql-connector-java-3.0.8-stable-
bin.jar /usr/local/tomcat/common/lib/mysql-connector-java-3.0.8-stable-bin.jar

이렇게 링크를 걸어주면 tomcat환경에서 jdbc의 연동이 가능할것이다.


2009-01-09

Fedora에서 java jdk 업데이트

우선 bin 으로 java 다운받아서~ (jdk 파일의 이름을 여기선 편의상 jdk로 함)
# chmod 755 jdk.bin
# ./jdk
# mv jdk /usr/local/


패스잡아주고~
# vi
/etc/profile
JAVA_HOME=/usr/java/jdk
CLASSPATH=/usr/java/jdk
CLASSPATH=$CLASSPATH:$JAVA_HOME/jre/lib
PATH=$PATH:$JAVA_HOME/bin:$HOME/bin:$JAVA_HOME:
export PATH JAVA_HOME CLASSPATH
# source /etc/profile

기존의 icedTea등의 gij 버젼에서 새로 깐걸로 교체 ㄱㄱㄱㄱ
# 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usr/java/jdk/bin/java 2
# alternatives --config java
*화면이 나오면 원하는 버젼 선택

2008-10-14

delete RSA Host key

/root/.ssh/known_hosts
위 파일의 해당 호스트를 제거 해 준다

2008-08-29

access Ext format storage media from windows environment
download : http://www.fs-driver.org/

this install file is verry simple and usefull for windows - linux users

basically windows dosent support ext* type
when u wanna access to ext* format media by windows pc,
you setup this file into your windows pc, you can use ext format media system

2008-08-27

apache 2.0 <-> tomcat connect

apache2.0 이상 버전에서만 지원됨. apache와 tomcat의 deamon은 우선적으로 꺼둬야 한다
1. /etc/httpd/conf.d/proxy_ajp.conf 파일을 연다
2. 맨마지막 라인에 다음의 커맨드를 추가한다.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PATH_INFO} .jsp [OR] RewriteCond %{PATH_INFO} ^/* RewriteRule (.*) ajp://localhost:8009$1 [P]
3. 저장하고 빠져나온다.
4. httpd.conf 에서 LoadModule proxy_module modules/mod_proxy.so 라인의 주석을 제거한다.
5. httpd 데몬을 재시작한다.
6. tomcat 실행 후 apache를 실행한다

2008-08-22



Fedora 9 Linux on iMac G3

몇번 시행 착오 끝에 맥에 페도라를 깔긴 했는데....
에이씨, 매캔토시 이런 꼬물딱지

new cell phone
samsung sch-m480 (i780 is over sea model name)
Windows mobile
Touch screen
3G
GSM
GPS
WI-FI
Support T-Flash card slot
qwerty keyboard
Finger mouse
2M pexels cmos camera
Full web browsing
Bluetooth
etc......

LINUX vs WINDOWS basic commands


show list ls / dir
make directory mkdir / mkdir , md
delete dirctory rmdir / rmdir , rd
show directory tree ls -R / tree
delete file rm / del , erase
copy file cp / copy
move file mv / move
change name mv / rename
change directory cd / cd
show current directory pwd / cd
clear screen clear / cls
command anlaysis sh, csh, bash / command.com
show file cat / type
help, manual man / help
exit exit / exit
thime date / time
echo echo / echo
set path set,env / set
show path echo $PATH / path
o/s version uname -a / ver
show user information finger / fingerping ping / ping
routing table route -n / route print
domain name server query tool nslookup / lookup
telnet telnet / telnetftp ftp / ftp네트work path trace traceroute / tracert
find string in file find / find
find string in file grep / findstr
list more / more
look differences with two files diff / fc, comp
line editor ed / edlin
align sort / sort
copy with under directory cp -R / xcopy
file properties lsattr / attrib
pushd pushd / pushd
move to pushd dirctory popd / pupd
hide file mv file .file / ATTRIB +h or -h
compress tar , zip / pkzip
show process inform. ps, top / taskmgr
host name hostname / hostname
scheduling at, cron / at
kill process kill , killall / tskill
shutdown shutdown, halt, init 0 / shutdown
file system mke2fs / format
show ip, interface ifconfig / ipconfig
fdisk fdisk / fdisk
check disk fsck / chkdsk
show free memory free, top / mem
scandisk fsck, debugfs / scandisk
print file lpr / print
show prints que lpq / print
start gui environment startx / win

2008-08-21

City space



social network games based on world wide web.
City space



http://www.liveplace.com/

2008-04-01

ms surface demo

2008-03-03


/etc/sysconfig/selinux


SELINUX=enforcing -> SELINUX=disabled
or
SELINUX=Permissive


for Ur server security i'm recommand Permissive

2008-01-05

소프트웨어 레벨 KM Synergy
http://synergy2.sourceforge.net/
동료 소개로 오늘 처음 깔아본 소프트웨어 km이다

현재 xp, fedora8, vista, xp tablet
총 4개의 머신을 책상 위에 두고 앉았는데
xp <- kvm - > fedora8 이런식으로 2대는 서버실서 굴러다니는
2구짜리 싸구려 kvm으로 연결하고
vista와 xp tablet의 경우,
그냥 단독 키보드를 쓰다보니 책상 공간의 낭비가 많았던것이 사실이다

synergy는 kvm에서 keyboard, mouse 두가지 디바이스를 소프트웨어 레벨에서
공유시켜주는 유틸이다(역시 소스포지는 똥간지)
이녀석을 이용해 한세트의 키보드, 마우스를 이용해
4개의 머신을 듀얼 모니터 마냥 마우스 움직임에 따라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윈도우 버젼, mac, 리눅 (rpm, 소스) 등의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게 되어있는데
xp(& xp tablet), vista, fedora8 3개 os에서는 큰 문제 없이 잘 돌아가고 있다.

인스톨은 쉬운 편인데 설정은 약간 골때리는 녀석이다
윈도우를 서버로 쓸 때 네트워크상 연결 시킬 모니터의 물리적 실제 위치를
잡을 때 메뉴얼을 제대로 읽고 설정 놔주지 않으면
엄한 소프트웨어 욕만 하게 될것이다

사용해 보고 싶다면 본 로그의 2번째 라인의 링크를 따라가길
한글키 지원이 미비하다 'synergy 한글'이라고 구글링질하시면 아마 해결 할 수 있을것이다.

2007-12-18


리눅스용 네이트온 출시 ㄱㄱㄱ
이미 10월에 나왔단다 ;;;
GNOME을 쓰는지라 GNOME판 찾아봤지만 없어서
KDE판 깔았지만 잘 돌아간다 ㅎㅎ

2007-12-17



Cluster computer by Dell PowerEdge 1950


最近こいつのためにすごく忙しい。


クラスタがとても大変だ


他のプロジェクトもいっぱい。。。。


頭が痛い。。。。




しかし楽しさが感じられる




やっぱり僕はお宅かな?

2006-11-20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WPF) Mashup